남양주인력 및 기타 모든지역
인력이 필요할땐 일가자인력 남양주점으로 연락주세요.
그라인더는 다른 전동 공구에 비해 작고 가벼운 기기라 별 두려움 없이 사용하는 사람이 많으나, 산업재해를 가장 많이 일으키는 전동 공구이다.
|
2015년 3월경 서울 중랑구의 한 주민센터 신축 공사현장에서 작업 중이던 인부가 그라인더(빠르게 회전하는 숫돌을 이용해 면을 깎는 기계·연삭기)에 목을 심하게 다쳐 숨지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당시 소방당국은 다친 인부가 2층에서 그라인더를 이용해 건물 난간을 작업하던 중 그라인더 날에 넥워머가 감기면서 화를 당했다고 밝혔고, 목 부위를 심하게 다친 인부는 동료의 119 신고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을 거두었습니다.
이 사고사례를 통해서 그라인더 작업시 안전수칙을 알아보고, 이와 같은 사고가 또다시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예방대책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 현장은 반장님이 거절해주세요!!

남양주인력

산업현장뿐만 아니라 농촌이나 가정에서도 그라인더로 매년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4인치 그라인더는 10,000rpm ~ 12,000rpm 으로 고속회전 하기 때문에 작업중 날이 부러지거나 회전하는 날에 신체가 접촉하면 바로 상해로 이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기설계 자체에 안전성이 고려되어야 하고, 매뉴얼의 준수와 사용 시 정확한 안전행동이 필요합니다.
[그라인더 제품군 스위치의 종류]
1) 토글 스위치(수동조작 수동복귀)
- 본체의 하단부 전선 바로 옆에 달려 있는 방식
2) 슬라이드 스위치(수동조작 수동복귀, 수동조작 자동복귀)
- 스위치가 몸통의 중앙부에 달려있는 방식
3) 패들 스위치(수동조작 자동복귀)
- 손으로 잡아 눌렀을 때 작동하는 방식
|
핸드그라인더는 스위치 작동방식에 따라 수동조작 수동복귀 방식,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수동조작 수동복귀 방식의 특성
수동조작 수동복귀 방식은 기기를 놓치거나 회전 날에 의복이나 장갑이 말렸을 때 등,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 되었을 때 전원을 신속히 차단할 수 없어서 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됩니다.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의 특성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은 손가락이나 손바닥으로 적정 힘을 가하고 있어야만 작동되는 방식으로, 기기를 놓치거나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도 상해로 연결될 개연성이 적어집니다.
하지만, 편의성과 작업성이 우선시되어 자동복귀 방식보다 수동복귀 방식의 그라인더가 훨씬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동복귀 방식이 일반화되고 사용시 안전행동을 절차화 함으로써 리스크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그라인더에 의한 사고유형은 다양하지만 똑같은 그라인더를 사용하더라도 작업자의 습관화 된 행동과 절차에 따라 리스크의 크기가 달라집니다.
작업이 끝나면 스위치를 끄고 들어 올리는 작업자가 있고, 들어 올리면서 또는 들어 올린 후에 스위치를 끄는 작업자가 있습니다. 회전 날이 돌아가는 상태로 이동하거나 몸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도 있고 콘센트에 전원을 연결할 때 스위치가 On상태인지 Off상태인지 확인을 하지 않고 연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작업자의 행동습관과 다양한 작업환경을 반영한
그라인더 사용시 공통적인 리스트 저감방법

▶ 회전 날이 돌아가는 상태로 이동을 하거나 몸의 자세를 바꿈
▶ 한 손으로 잡고 작업

▶ 미끄러지기 쉬운 장갑을 착용
▶ 그라인더 전선이 걸릴 수 있는 작업 환경
▶ 안전덮개 미부착

▶ 전원 연결시 스위치 상태 미확인
▶ 포인트 작업 완료 후 기기를 들어 올리며 스위치를 조작
사고 분석 결과
유사동종사고의 예방을 위해 수동조작 자동복귀 방식의 그라인더 보편화와 “놓고 켜고, 끄고 들고” 안전행동 절차의 교육이 필요합니다.


“위험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눈에 보이는 것에서 한 단계 나아가
행동을 돌아보고, 주변환경을 살펴보며,
절차상의 문제가 위험을 가져오지 않는지 들여다봐야 합니다.

ⓒS.L.O.W /헌정안전(주) 이미지제공
핸드그라인더 안전 작업 수칙
1.위험 요인
• 핸드그라인더의 테일커버 내부에서 케이블의 절연이 파괴되면서커버 외측에 접촉되어
누전발생으로 감전되는 사례.
• 연삭숫돌 덮개를 제거하고 작업 중 절단석이나 연마석이 파괴되어 비래된다.
2.안전작업 수칙
• 지정 용도 이외에는 사용을 금한다.
• 비가 올 때, 습한 장소 등에서는 작업을 금한다.
• 화재의 위혐성이 있는 인화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선 사용을 금한다.
• 모터의 통풍구는 언제나 막혀있는지 확인하고 열어둔다.
• 작업 중에는 반드시 보안경을 착용한다
• 작업후에는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제거한다.
• 코드를 쥐고 제품 이동시에는 절연 파손의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히 취급한다.
3.사용 전 /중 안전조치
• 절단석이나 연마석에 균열이나 깨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견고하게
조여졌는지 확인한다.
• 스위치가 켜져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를 꽂으면 불의의 사고를 당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OFF 상태에서 연결 한다 .
• 연마석이나 절단석이 가동된 상태로 사용하지 않으면서 방치하지 않는다.
• 핸드그라인더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연마석이나 절단석이 쉅게
마모가 되며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천천히 힘을 가해서 가동한다.
• 핸드그라인더에 무리한 힘을 가하면 모터에 과부하와 모터 소손위험이 있다.
• 핸드그라인더 사용 시 절단석으로 사용하게 되면 자르려는 물체와 절단석이
일직선으로 위치한지를 확인하고 절단을 해야된다.
• 핸드그라인더를 연마의용도로 사용 시에는 연마석의 누르는 각도는 15~30로
기울여 작업을 시행하며 연마석의 측면과 상면은 사용하지 않는다.
• 항상 발판은 튼튼하게 유지하고 무리한 자세로 임하지 않는다.
• 절단석과 연마석의 교체시기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최대한 신체와 일직선상이
되지 않도록 노력하며 작업을 시행한다.
• 사용 후에는 스위치를 끄고서 연마석이 완전히 회전이 멈춘후 에 이동/ 보관한다.
'현장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설작업 취부작업 풀링작업 용어설명 (0) | 2023.07.18 |
---|---|
장마철 작업현장 안전수칙-남양주인력 일가자 남양주점 (0) | 2023.06.28 |
사춤작업이란? - 남양주인력은 일가자 남양주점 (1) | 2023.05.12 |
안전을 위한 보호구 가이드-남양주 인력은 일가자 남양주점 (0) | 2023.05.11 |
견출작업이 뭐에요? (4) | 2023.02.20 |